ARTICLE

PUBLISHED

PUBLISHED
:
Saturday, July 27, 2019

강연자

우리가 전문가에게 요구하는 연구 임팩트란 무엇인가요

우리 주변 사회에 변화를 가져온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노벨상수상자인 Fraser Stoddart를 비롯한 많은 연구자와 전문가가 말하는 연구 임팩트에 대해 들어보십시오.

연구 임팩트는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한국 최초의 Wiley Impact Forum에서 저명한 연구자와 전문가들이 한 곳에 모여 분명한 사실 한 가지를 논의하였습니다. 연구 임팩트는 우리 주변 사회와 커뮤니티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것입니다.


더 큰 문제 해결

2016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Fraser Stoddart는 "일상적인 일을 하는 것에 만족하지 않는다면 해결해야 할 큰 문제를 파악하고 새로운 연구 영역을 개척하여 흔적을 남길 필요가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연구자들에게 "해결할 수 있는 20개의 문제 목록을 작성하고 1부터 번호를 매기십시오. 가장 크고 어려운 문제 목록부터 시작하고 그것이 당신이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스스로에게 말하십시오.”라고 말했습니다.

Fraser는 전임자들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것이 쉬운 길일 수 있지만 연구자들은 기준을 더 높게 설정하고 "큰 문제"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인내는 미덕이다

해결해야 할 큰 문제 중 하나는 신진연구자가 직면한 연구보조금 거부입니다. Wiley의 시장 및 출판 분석 이사인 Iain Craig는 "전 세계적으로 대략 90%의 연구 보조금 신청이 거부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KAIST의 Cafer T.Yavuz 교수는 교육 문화에서 비롯된 '빠른 결과'가 연구분야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언급하였습니다. “우리는 시험을 위해 공부하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우리는 시험을 치르고 즉시 결과를 받았습니다. 우리는 늘 즉시 결과를 얻는 것에 익숙해 있지만 연구는 그런 식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연구 보조금으로 즉각적인 결과를 산출할 수 없고, 이는 젊은 연구자의 조바심을 더욱 부채질할 뿐입니다. 이러한 문화에서 벗어나려면 단기적이고 대중적인 프로젝트가 아닌 근본적이고 획기적인 연구를 위해 정부의 영구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Yavuz 교수는 강조하였습니다.

"쓸모없는 지식의 유용성에 대하여" - Helmut Schwartz

KAIST 김소영 교수는 포럼에서Fraser가 공유한 Helmut Schwartz의 인용 문구에 대해 “정부와 기관이 꼭 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당장이라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들을 지원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연구기금 기관은 종종 연구의 "유용한" 측면만 보고 이러한 프로젝트의 대부분이 "쓸모없는 지식"에서 나왔다며 무시합니다. 김교수는 최근 단기적 연구비 지원의 증가가 연구자들을 방해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나다. 연구자들은 장기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습니다.

숫자로 평가하는 연구 문화로부터의 변화

Wiley의 편집장인 AndrewMoore 박사는 “진정으로 연구의 질을 판단하는 것 외에 연구의 질을 판단하는 지름길은 없습니다. 정부와 기관은 연구물을 기반으로 연구자를 평가하고 순위를 매기는 방식을 개선함으로써 연구자를 더욱 지원할 수 있습니다.

연구 결과의 질을 판단하기 위한 지름길로 수치적 지표를 사용하는 대신, 연구지금 기관은 연구 문화를 변화하는데 실질적으로 기여해야 하고 연구의 질적인 부분을 더 살펴봐야 합니다.  

말, 코끼리, 꿀벌에게서 배우기

Fraser는 임팩트 포럼에서 기조연설을 마치며 성공의 길은 매우 길고 험난할 수 있음을 상기하였습니다. 그리고 성공하기 위해 세 종의 특성을 전달하는 방법도 조언했습니다.

말의 힘을 가지십시오- 말의 힘을 가지려면 잘 먹고 체력을 관리하십시오.

코끼리 가죽을 가지고 있으십시오 – 창의적이고 새로운 일을 하려면 엄청난 양의 비판을 감당할 수 있어야 하고 그러려면 코끼리 가죽이 필요합니다.

벌의 직업 윤리를 가지십시오 - 일단 무언가를 발견하면 집으로 가져오는 꿀벌의 직업 윤리처럼 장점을 집으로 가져옵니다.